거창장씨 역사연원
연원

거창장씨 역사

 

시조 충헌공 장종행(章宗行)은 원래 중국 송나라 건주(建州)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했다. 충렬왕 때 봉익대부, 판도판서, 예문관대제학 겸 춘추관사를 지냈다. 그는 안향(安珦)의 사위이기도 하다.  장종행의 아들 장두민(章斗民)은 충숙왕 때 광정대부 판삼사사를 지냈으며, 충혜왕이 원나라에 갈 때 배행했다. 공민왕 때에는 상장군이 되어 홍건적을 물리치고 아림군(我林君)이 되었다. 아림은 거창의 옛 이름이다. 그래서 후손들이 거창을 본관으로 삼았다.  장두민의 아들 장영순(章永巡)은 고려의 절신 이양중(李養中)의 사위로 공민왕 때 한림학사, 보문각 직제학 등을 지냈다.  장삼장(章參莊)은 공양왕 때 돈령부부정을 지냈다. 그러나 조선이 개국하게 되자 벼슬을 버리고 거창군 웅양면으로 퇴거하여 그 곳에 정착하게 되었다. 그 뒤부터 이 일대는 장씨(章氏) 후손들의 세거지가 되었다. 장씨(章氏)는 지금도 대부분 경남 거창군과 함양군에 집단마을을 이루고 있다.  선조 때 훈련원정으로 임진왜란 때 장렬하게 순절한 장헌휘(章獻輝)   판관을 지낸 장헌서(章獻瑞)도 유명하다. 장석규(章錫奎)는 부호군을 역임했다.